-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카테고리 없음 2025. 3. 28. 00:15반응형
서울 아파트값 다시 주춤…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의 영향은?
“서울 집값, 계속 오를까?”
내 집 마련을 고민하는 분들이라면 최근 뉴스에 다시 귀를 기울이게 됩니다.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다시 확대 지정하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급격히 둔화되었기 때문이죠.빠르게 올라가는 집값에 부담을 느꼈다면?
최근 투자 타이밍을 고민 중이었다면?
지금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를 정확히 읽는 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3월 넷째 주 서울 및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시세 변화를 꼼꼼히 분석하고,
이번 조치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반토막’
3월 2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1% 상승했어요.
하지만 지난주 0.25%보다 절반 이상 꺾인 수치입니다.이번 가격 둔화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이 결정적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가 규제에 포함되며, 매수 심리가 급속히 냉각되었죠.
🏙️ 송파구, 1년 1개월 만에 ‘하락 전환’
가장 큰 변화는 송파구(-0.03%).
1년 넘게 오르던 집값이 이번 주 드디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주요 단지인 잠실·신천 일대에서 급매가 나오며 가격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돼요.
📉 강남·서초·용산도 상승폭 ‘급감’
- 강남구: 0.83% → 0.36%
- 서초구: 0.69% → 0.28%
- 용산구: 0.34% → 0.18%
이처럼 강남3구와 용산 모두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었고,
전체 서울 시세 상승률도 이에 따라 둔화됐습니다.
🗺️ 서울 외 지역도 ‘숨 고르기’ 시작
- 성동구: 0.37% → 0.35%
- 마포구: 0.29% → 0.21%
- 광진구: 0.25% → 0.15%
- 동작구: 0.20% → 0.17%
서울 주요 지역도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줄었습니다.
관망세가 커지고 급매가 일부 나오며 일시적인 조정기에 접어든 분위기예요.
🏢 전국 시세는 어땠을까?
- 전국 평균 매매가: 0.01% 하락 (3주 만의 하락 전환)
- 수도권 전체: 0.07% → 0.03%로 상승폭 축소
- 지방: -0.04% (하락폭 유지)
- 과천: 0.55% 상승 (하지만 점점 둔화 추세)
👉 상승폭이 크던 지역일수록 조정이 빨리 시작되고 있어요.
🏠 전세시장도 비슷한 흐름
- 서울 전세가: 0.07% → 0.06%
- 수도권: 0.04% 유지
- 지방: -0.02% → -0.01%로 낙폭 축소
역세권·대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수요는 여전히 있지만,
신축 입주 물량이 몰린 지역에서는 여전히 가격 조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뭐라고 볼까?
“급매물과 관망심리가 겹치며 거래가 위축된 상황.
이번 하락은 일시적 조정일 수 있고, 공급 부족 이슈는 여전히 유효하다.”
– NH농협 부동산위원 윤수민장기적으로 상승 압력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이번 토허제 확대는 ‘숨고르기’ 정도로 보는 시선도 많습니다.
📣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점
- 토허제는 투자 억제 효과는 확실하지만, 장기적 집값 안정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 조정기에는 급매나 실거주 중심으로 기회를 노릴 수 있음
- 전세는 당분간 ‘선호단지’ 중심 상승세 지속 예상
🔍 지금 실거주·투자 타이밍 고민된다면?
🧾 마무리하며
이번 토허제 확대 지정은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 흐름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공급 부족, 선호 지역 쏠림 현상은 이어지고 있어,
서울 아파트 시장은 불확실한 흐름 속의 조정기에 들어선 셈이에요.이럴 때일수록 정보에 민감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
그리고 내 상황에 맞는 계획 수립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출처: 연합뉴스 출처: 연합뉴스 반응형